핵융합 관련주
핵융합이란 가벼운 핵(nucleus)들이 결합하여 보다 무거운 핵이 되는 것을 말한다. 원자핵보다 가벼운 핵은 핵자당의 결합에너지(binding energy)가 질량이 작을수록 낮아서 보다 무거운 핵으로 될 때 더 안정한 핵이 될 수 있다.
이때의 결합에너지의 차이는 질량결손(mass defect)으로 나타날 만큼 크고 그 결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일단 융합이 되면 두 핵으로 나뉘었을 때 에너지가 더 낮아진다고 해도 쉽게 쪼개지지 않는다.
다원시스
동사는 특수전원장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96년 1월 9일 설립됨.
국내시장에서 핵융합 전원 장치를 공급하는 유일 업체로 특수전원장치 사업과 전자유도가열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특수전원장치 중 핵융합전원 장치는 국가 연구기관을 대상, 플라스마 전원 장치는 환경 설비 전문 업체인 포스코 ICT와 민간기업인 반도체 세정장비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제품을 공급함.
주요주주 | 보유주식수 | 보유지분 |
박선순 외 9인 | 5,816,509 | 16.98 |

일진파워
동사는 발전소의 밸브류 가공 및 수리를 주 업종으로 하여 설립되고, 꾸준한 연구개발 등으로 각종면허 및 인증을 획득하여 화공기기 제작, 플랜트 경상정비, 유지보수 등을 해옴.
2002년 한국남부발전(주)하동화력 경상정비공사를 수주하여 본격적으로 사세를 확장함. 국가 기간산업인 발전소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발전설비의 유지보수와 차질 없이 설비가동을 하며 축적한 기술력의 민간정비회사로 성장함.
핵융합 핵심 원료인 삼중수소 취급 기술 보유
주요주주 | 보유주식수 | 보유지분 |
이광섭 외 5인 | 5,404,472 | 35.84 |

비츠로테크
동사는 1968년에 설립되었으며, 2000년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동사를 포함하여 총 8개의 계열회사가 있음.
동사는 크게 전력의 생산, 공급에 필요한 전기제어장치를 개발, 제조 및 판매를 하는 전력기기사업과 특수사업, 전시사업으로 구분되며, 전력기기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자회사 비츠로셀은 세계 1위의 글로벌 리튬일차전지 업체로서 성장할 것을 목표로 연구 개발과 영업망 확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 중임.
플라스마기술을 이용하여 핵융합반응을 일으켜 핵융합에너지를 얻는 KSTAR프로젝트사업에 참여
주요주주 | 보유주식수 | 보유지분 |
장순상 외 5인 | 15,769,095 | 60.19 |

두산에너빌리티
동사는 1962년 현대양행으로 설립되었으며 1980년 중화학공업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정부에 귀속, 한국중공업으로 변경됨. 2022년 3월 두산중공업에서 두산에너빌리티로 사명 변경함.
발전설비 및 담수설비, 주단조품, 건설(두산중공업), 건설중장비 및 엔진(두산인프라코어), 토목과 건축공사(두산건설) 등의 사업을 영위 중임.
17,000톤 프레스 도입으로 발전과 산업 분야의 초대형 단조품 시장 공략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임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 한국형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 부품 생산에 참여
주요주주 | 보유주식수 | 보유지분 |
두산 외 26인 | 196,452,737 | 30.67 |
국민연금공단 | 41,944,034 | 6.55 |
자사주 | 95,978 | 0.01 |

모비스
동사는 2016년 설립되어 하나금융인수목적 주식회사와 합병을 통해 2017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고, 피합병회사인 모비스는 2000년 설립되었음.
동사는 국가 차원에서 수행되는 대형 과학 프로젝트인 빅사이언스 시설물 제어에 필요한 제어시스템 및 장비를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18년 9월 블록체인 기반한 P2P 광고 플랫폼 및 설루션 제공을 하는 블록베이스 지분을 획득함.
핵융합실험로를 총괄하는 중앙제어시스템과 하부 설비에 대한 제어시스템 등을 보유
주요주주 | 보유주식수 | 보유지분 |
김지헌 외 5인 | 10,612,941 | 32.99 |
자사주 | 229,927 | 0.71 |

삼화콘덴서
동사는 종합콘덴서(축전기) 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6년 설립되었으며 1976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됨.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 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 즉 전력용 콘덴서(FILM), 단층 세라믹 콘덴서, 적층형 콘덴서(MLCC)를 생산하고 있음.
내수면에서는 대형 IT기업과의 안정적인 거래관계 유지로 경쟁사에 비해 상대적 우위에 있음.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 핵융합 관련 핵심부품을 생산
주요주주 | 보유주식수 | 보유지분 |
오영주 외 3인 | 2,926,243 | 28.15 |
자사주 | 134,000 | 1.29 |

마무리 글
핵융합 주식 관련주
'테마 기준 정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 테마 관련주 정리 (0) | 2023.12.12 |
---|---|
자율주행 테마 관련주 (1) | 2023.12.08 |
GTX 테마 관련주 정리 (1) | 2023.11.27 |
주식 알츠하이머 치매와 파킨슨 치매 관련주 정리 (2) | 2023.11.23 |
폐배터리 관련주 정리 (0) | 2023.11.16 |